"전측 대상피질(aMCC, anterior midcingulate cortex)"이 두텁고 활성화되어 있다는…
페이지 정보

본문
"요즘 젊은 사람들은 끈기가 없어"
"저 사람은 하다말다하고, 끝까지 해내는 끈기가 없어"
어떤 표현은 대상을 집단화하여 얕잡아 이르는 표현이기도 하지만, 시대와 세대에 따라, 사람에 따라, 내가 무언가를 끝까지 해내는 경험이 적거나 변화 상황에서 크게 흔들리는 멘탈을 가지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면, aMCC(전측 대상피질) 강화를 훈련해 보는 것은 큰 의미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요즘과 같이 불확실성이 지배하는 시대에서는 개인, 조직차원에서도 도전하는 문화를 갖추기에 앞서 이런 훈련들을 먼저 내재화하는 것을 권해보고 싶습니다.
탁월한 운동선수들이 가지는 뇌의 특성 중에는 "전측 대상피질(aMCC, anterior midcingulate cortex)"이 두텁고 활성화되어 있다는 공통점을 발견하게 됩니다. 유퀴즈에 나왔던 김연아 선수의 말이 오랫동안 회자되기도 하였는데, 사람들은 그녀가 어떤 생각으로 그 어렵고 혹독한 훈련을 견뎌내는지에 대해 궁금해 했고, "그녀에게 무슨 생각으로 훈련을 하는지" 물으니 "그냥 하는 것"이라는 답변이었죠. 이어서, "집에 가고 싶은 마음도 들고, 내가 이걸 해야 하나 생각도 들지만, 이게 쌓여야 실력을 쌓을 수 있기 때문"이라는 답변도 보게 됩니다.
브런치 글 이미지 1
브런치 글 이미지 2
(이미지 출처: 유퀴즈, MBC)
뇌과학 측면에서도 일리가 있는 말이라고 하는데, 앤드류후버만 스탠퍼드 교수는 매일 반복되는 고된 훈련을 해내는 사람이 가지는 aMCC의 활성화 상태가 다르고, 이를 인내하고 해내는 사람들은 다양하게 어려운 내 외부 상황에서도 흔들림 퍼포먼스를 낸다는 것을 밝혀냈습니다.
aMCC가 하는 일은 뇌에 얼마나 많은 에너지를 쓸지를 결정하는 역할을 하는데, 목표 집중하는데 얼마나 에너지를 쓸지, 인내하는데 얼마나 에너지를 쓸지, 이를 테면 몸 안의 '에너지' 자원 계획을 계획하고 집행하고, 목표의 우선순위를 정하고 어려움을 견뎌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불확실한 경영 환경에서 구성원들의 끈기를 강화하기 위해
무언가를 더하는 시도도 중요하지만,
어려움을 빠르게 회복하는 회복탄력성 또한 중요한 개념이라고 생각되어
이 두가지 개념을 바탕으로 아래와 같이 제안을 해봅니다.
이미 기업에서는 많은 시도를 하고 있지만,
좀 더 방법을 원리에 기반하여 치우치거나 놓쳐진 점은 없었을지,
단순히 "했다, 안했다"로 판단하고 지나온 것은 없었을지,
더 낫게 달리 해볼 수 있는 것이 없을지 생각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저 사람은 하다말다하고, 끝까지 해내는 끈기가 없어"
어떤 표현은 대상을 집단화하여 얕잡아 이르는 표현이기도 하지만, 시대와 세대에 따라, 사람에 따라, 내가 무언가를 끝까지 해내는 경험이 적거나 변화 상황에서 크게 흔들리는 멘탈을 가지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면, aMCC(전측 대상피질) 강화를 훈련해 보는 것은 큰 의미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요즘과 같이 불확실성이 지배하는 시대에서는 개인, 조직차원에서도 도전하는 문화를 갖추기에 앞서 이런 훈련들을 먼저 내재화하는 것을 권해보고 싶습니다.
탁월한 운동선수들이 가지는 뇌의 특성 중에는 "전측 대상피질(aMCC, anterior midcingulate cortex)"이 두텁고 활성화되어 있다는 공통점을 발견하게 됩니다. 유퀴즈에 나왔던 김연아 선수의 말이 오랫동안 회자되기도 하였는데, 사람들은 그녀가 어떤 생각으로 그 어렵고 혹독한 훈련을 견뎌내는지에 대해 궁금해 했고, "그녀에게 무슨 생각으로 훈련을 하는지" 물으니 "그냥 하는 것"이라는 답변이었죠. 이어서, "집에 가고 싶은 마음도 들고, 내가 이걸 해야 하나 생각도 들지만, 이게 쌓여야 실력을 쌓을 수 있기 때문"이라는 답변도 보게 됩니다.
브런치 글 이미지 1
브런치 글 이미지 2
(이미지 출처: 유퀴즈, MBC)
뇌과학 측면에서도 일리가 있는 말이라고 하는데, 앤드류후버만 스탠퍼드 교수는 매일 반복되는 고된 훈련을 해내는 사람이 가지는 aMCC의 활성화 상태가 다르고, 이를 인내하고 해내는 사람들은 다양하게 어려운 내 외부 상황에서도 흔들림 퍼포먼스를 낸다는 것을 밝혀냈습니다.
aMCC가 하는 일은 뇌에 얼마나 많은 에너지를 쓸지를 결정하는 역할을 하는데, 목표 집중하는데 얼마나 에너지를 쓸지, 인내하는데 얼마나 에너지를 쓸지, 이를 테면 몸 안의 '에너지' 자원 계획을 계획하고 집행하고, 목표의 우선순위를 정하고 어려움을 견뎌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불확실한 경영 환경에서 구성원들의 끈기를 강화하기 위해
무언가를 더하는 시도도 중요하지만,
어려움을 빠르게 회복하는 회복탄력성 또한 중요한 개념이라고 생각되어
이 두가지 개념을 바탕으로 아래와 같이 제안을 해봅니다.
이미 기업에서는 많은 시도를 하고 있지만,
좀 더 방법을 원리에 기반하여 치우치거나 놓쳐진 점은 없었을지,
단순히 "했다, 안했다"로 판단하고 지나온 것은 없었을지,
더 낫게 달리 해볼 수 있는 것이 없을지 생각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운동은 근신경 연접을 더 강해지게 한다. - 2025-04-04 (ddddd)
운동은 남자의 의무다 - 2025-03-29 (Dndh)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